시사점은
설문 조사표에 확연히 드러났듯이 현지 소비를 이끌고 있는 소비자들은 20, 30대의 여성들로 1,000달러 이하의 소득 계층임을 감안할 때, 이들을 타깃으로 제품 구성 및 가격 전략 수립이 우선시 돼야 할 것입니다.
- 아울러, 현지 한류에 대한 인기가 음악 및 드라마를 위주로 확산되면서 젊은층 사이에서 한국에 대한 우호적 분위기 및 호기심도 고조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 이번 팝업스토어에서는 화장품, 가방 및 액세서리, 식료품, 유아용품 등 제품에 대한 인기가 매우 높았으며, 팝업스토어에서 판매하지 않은 제품 중 현지 소비자들이 구매하고 싶은 한국 제품들로는 패션의류제품 및 전자제품 등을 꼽고 있입니다.
- 과거 한국 제품을 구매한 경험이 있는 소비자가 팝업스토어 방문 구매 고객의 76%가 넘고, 재구매 의사는 98%가 넘은 설문 응답 결과에서 보듯이, 현지 타깃 고객에 맞춰 가격만 잘 설정한다면 한국산 일반 소비재의 인기는 계속 이어질 것으로 기대입니다.
현지 온라인 시장도 빠른 속도로 성장세를 보이고 있어, KOTRA 알마티 무역관에서 ‘팝업 스토어’ 사업 이후 오는 9월 28일~10월 31일간 현지 대형 온라인 플랫폼과 공동으로 계획 중인 “온라인 한국제품 판촉전’ 사업 참여도 현지 시장 파악에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 온라인 유통망은 오프라인 유통이 미발달한 중소도시 등 공략이 가능하며, 현지 소비자들의 중국 인터넷 쇼핑몰을 통한 제품 구매도 증가하는 등 인터넷 쇼핑몰 매출이 급증하고 있입니다.
- EAEU(유라시안 경제공동체) 국가 간 관세가 면제되는 등 혜택이 있어 현지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러시아,키르기스탄 판매와 홍보도 가능할 것을 기대됩니다.
참고 사항은
올해 들어 경제 회복세가 완연함에 따라 카자흐스탄 국민의 소비도 회복세를 나타내고 있음. 그러나 경제 위기 이후 평가절하된 현지화 가치로 인해 고가 제품에 대한 수입 수요는 여전히 정체된 상황입니다.
- 한국의 대카자흐스탄 수출은 유가 하락 등 경제 침체의 영향으로 최근 3년간 큰 폭으로 지속적인 감소세를 나타냈으나, 금년 들어 올해 상반기 중에는 전년도 동기대비 93.8%(2억4100만 달러) 증가세를 시현입니다.
- 2016년도 카자흐스탄 경제는 국제유가 하락 및 오일 생산량 감소, 러시아 경제 침체, 텡게화 약세에 따른 고인플레이션 등으로 GDP 성장률이 0.9%를 기록입니다..
- 2017년도에는 OPEC의 지속적인 감산 합의, 카샤간 유전의 생산량 증가, 텡게화 강세에 따른 수입물가 하락 등의 영향으로 2016년도 평균 14.6%에 달했던 인플레이션이 7.4%대로 하락, GDP는 2.8%로 소폭 성장할 것으로 전망입니다.
2017년 2분기 기준, 카자흐스탄의 1인당 평균 명목임금은 14만9951텡게(약 471달러)이고, 명목 임금이 가장 높은 업종은 금융
및 보험업(31만5345텡게, 약 990달러), 전문·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25만3240텡게, 약 795달러), 정보 및 통신업(22만2365텡
게, 약698달러), 기타 서비스업(20만4659텡게, 약 642달러), 산업(20만2334텡게, 약 635달러) 순입니다.
이상 정보 공유 훈이 입니다.